본문 바로가기

IT.전자기기 리뷰 및 정보

겨울철 자동차 히터 올바른 사용법 & 냄새 고장 여부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리입니다.

날씨가 정말 추워지고 있죠?
네 오늘은 바로 날씨가 추워짐과 함께 차에 히터를 틀게될텐데요

이 히터의 올바른 사용법과 주의할점 그리고 히터를 틀었을 때 나는 

냄새로 알아보는 진단에 내용으로 인사드리겠습니다!

 


일단 저 같은 경우는 히터를 정말 안 틀려고 노력합니다! 
왜냐! 안 그래도 안 좋은 피부가 말라 비틀어질 것 같거든요.
하지만 너무 추운 날은 사용할 수 밖에 없죠? 그래서 저는 다리 밑으로 히터가 나오게 
사용하긴 합니다. 

어쨋든 많은 분들이 다 아시겠지만 히터는 쉽게 설명해서
차를 운행을 하게되면서 생기는 엔진열! 이 열로 인해 냉각수가 데워지는데요
이 데워진 냉각수가 라디에이터를 거치면서 다시 온도가 낮아지고
이 때 라디에이터에서 발생되어 유입되는 열이 바로 히터입니다!
그래서 히터는 어느정도의 전력 소실은 있지만 에어컨을 켰을 때보다 연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원리입니다!
근데 제가 타고 있는 니로는 
보통 여름에 에어컨을 빵빵하게 틀고 다녔던 연비보다 겨울에 추운 날씨로 인해서 엔진개입이 더 많다보니까 연비가 쭉 떨어지긴 하더라구요

 

 

냉각수 온도

자 그럼 이 히터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려야겠죠?

일단 추운 겨울 날 운행을 하려고 차에 타서 시동을 걸고 바로 히터를 틀면 차가운 바람이 나오죠?
앞에서 말한 원리 떄문에 시동을 켜고 바로 히터를 틀기보다 어느정도 예열하거나
운행 후 2~5분 정도가 지나게되면 계기판에 냉각수 온도가 올라가는 게 보일 겁니다!
냉각수 온도가 올라가고 그 때 히터를 틀어주시는 게 차에 무리 없는 올바른 히터 사용법이 되겠습니다 쉽죠?

 

 



다음으로 히터를 사용하면서 주의할 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히터를 장시간 틀거나 온도를 너무 높게 설정해서 사용하게 되면
자동차 실내가 엄청나게 건조해지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이 말고도 실내 산소 농도가 떨어져서 집중력이 저하되고 
졸음운전의 원인이 되기도합니다. 그래서 자주 환기를 시켜주는게 중요합니다!! 환기!

 

환기!


앞에서 말한 저처럼 다리 밑으로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바닥 매트 또한 먼지가 나기 때문에 항상

 털어주시고 청결하게 해주는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필터를 시기에 맞게 교체해주는게 제일 중요한 듯 합니다 저는 

1년에 엔진오일 교체를 2번정도 하기에 
2번 정도 교체를 하고 있습니다.

 

저도 조금 지저분 합니다...

 


자 다음으로 오늘 내용에서 제일 중요한 바로 히터를 틀었는데!

 

바로 히터에서 나오는 냄새 입니다.

히터는 제가 앞에서 말한 엔진열을 통해서 작동되는 원리라서 냄새에 대한 여러가지 차의 

고장 여부를 빠르게 알 수 있습니다.

 


히터 냄새


첫번째. 달콤한 냄새가 난다!!

히터를 사용 중에 달콤한 냄새가 갑자기 난다면 바로 부동액 누유 또는 부동액관련된 

부품에서 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두번째. 달걀 썩는 냄새가 난다!!

이 부분은 송풍구 오염으로 곰팡이냄새가 될 수도 있지만 필터교체 및 세척 후에도 계속해서 난다면
촉매변환기나 연로분사기에 문제가 생겼을 수 있기 때문에 제일 먼저 의심해야 합니다!

 



세번째 고무 타는 냄새나 가죽 타는 냄새 입니다.

고무 타는 냄새가 날 시 팬벨트에 이상으로 나는 냄새일 수 있고
가죽 타는 냄새가 날 시에는 브레이크 라이닝쪽에 문제가 있을 경우가 높습니다.

 



네번째 기름타는 냄새나 비닐타는 냄새등이 날 때는 전기장치 및 연료장치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섯번째 유황냄새 입니다! 약간 방귀 비스무리 한 냄새죠? 

이 땐 트랜스미션 오일이 새는 것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여섯번째 시큼한 냄새가 난다!

이 경우는 배터리가 과잉 충전되서 나는 냄새일 수 있으니 이 경우에는
배터리를 소모할 수 있는 장치들을 사용하셔서 전기를 소모해주는게 중요합니다.
뭐 예를 든다면 라이트 / 히터 / 차 내부 등 과 같은 전기 소모 장치를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전기 소모

 




해결방법은 몇몇 방법에는 해결방법과 같이 설명했지만 몇몇 방법들은 개인이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될 때 가까운 정비소에서 꼭 점검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아! 그리고 혹시나 필터교체 및 여러가지 시도를 했는데도 악취가 심하게 난다! 하시는 분들은 에바클리닝 작업 또한 생각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어쨋든 오늘은 히터에 대한 내용으로 인사드렸는데요! 항상 안전운전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도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리고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https://youtu.be/_9fSOErjZuI

 

반응형